Thursday, August 31, 2023

어혈 풀어주는 방법(음식)

어혈이 적을 경우, 일반적으로는 별도의 치료 없이도 스스로 사라질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마사지를 통해 어혈을 풀어주면 자연스레 사라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나 어혈의 양이 많을 때는 사혈 치료나 한약을 복용하여 해소해야 할 수 있습니다.

특히 노인들의 경우, 어혈이 적더라도 높은 확률로 자연적으로 해소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노인들은 가만히 있어도 어혈이 생겨나기 쉬운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전문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외상으로 인한 멍이 생긴 어혈을 빠르게 해소하려면 해당 부위나 연결된 경혈에 경두절을 찔러 피를 빼내는 작약 요법이나 습식 부항 요법을 통해 사혈을 해소할 수 있습니다. 대황이나 치자와 같은 한약재를 가루 형태로 만들어 반죽하여 해당 부위에 사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큰 면적에 어혈이 발생한 경우에는 한약재를 복용하여 어혈을 해소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어혈 풀어주는 방법(음식)
어혈 풀어주는 방법(음식)

어혈을 해소하기 위한 음식은 강력한 작용을 갖추어야 합니다. 이에 따라 음식 중에서는 적절한 것을 찾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늘, 복숭아, 연근, 가지, 다시마, 미역 등은 어혈 해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음식입니다. 누에나 굼벵이, 지렁이, 거머리, 지네, 전갈과 같은 벌레 약재는 특히 어혈 해소에 효과가 강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익모초, 천궁, 작약, 홍화와 같은 한약재도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어혈을 해소하는 데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쓸개는 쓴맛과 찬 성질을 지니는 한약재로, 열을 낮추고 염증을 줄이며 해독 작용을 도와주며 혈액을 정화시켜주는 효능이 있습니다. 쓸개를 소량으로 섭취하면 어혈을 해소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특히 쓸개는 소주와 함께 복용되기도 하는데, 이는 쓸개의 성질과 소주의 효과가 어혈 해소에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쓸개를 과도하게 섭취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0 comments:

Post a Comment